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2017년 포항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2017년 포항 지진은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북쪽 8km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82명 이상의 부상자와 1,124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포항시에서 최대 진도 Ⅵ가 관측되었다. 본진 전에 규모 2.2와 2.6의 전진이 있었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여진이 발생했다. 지열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을 유발했다는 결론이 내려졌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일주일 연기되는 등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도별 지진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한 Mw 9.0~9.1 규모의 초대형 해구형 지진인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은 대규모 쓰나미를 동반하여 동일본 대지진이라는 대규모 재해를 야기했으며, 연동형 지진으로 지구 자전축 이동과 같은 지구적 규모의 영향과 지진 예측 시스템의 한계를 드러냈다.
  • 연도별 지진 - 1999년 이즈미트 지진
    1999년 이즈미트 지진은 1999년 8월 17일 터키 북서부에서 발생한 규모 7.6의 강진으로, 17,0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만 명이 부상하는 등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 경상북도의 재난 - 2016년 경주 지진
    2016년 경주 지진은 2016년 9월 12일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서 발생한 대한민국 관측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으로, 건물 및 문화재 피해, 원자력 발전소 가동 중단 등의 영향을 미쳤다.
  • 경상북도의 재난 - 속리산 지진
    1978년 속리산 지진은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으로 보은에서 진도 4, 남한 대부분 지역에서 진도 3이 관측된 지진이며, 2007년부터 2021년까지의 분석 결과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단층이 원인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발생 위치는 특정하기 어렵다.
2017년 포항 지진
지도 정보
2017년 포항 지진 강도 지도
진앙지
기본 정보
명칭2017년 포항 지진
발생 시간2017년 11월 15일 14시 29분 31초 KST
발생 시간 (UTC)2017년 11월 15일 05시 29분 31초 UTC
규모5.4 M
규모 (기타)5.5 M
진앙 깊이6.9 km
진앙지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남송리 (본진)
진도VI MMI
최대 지반 가속도0.58 g
단층 유형사이드 슬립성 역단층형
쓰나미 발생 여부없음
산사태 발생 여부없음
최대 전진M 2.6 (2017년 11월 15일 14시 22분 44초 KST)
최대 여진M 4.6 (2018년 2월 11일 05시 03분 03초 KST)
여진 횟수2019년 6월 25일 기준, 규모 M2.0 이상 여진 100회
피해 정보
부상자135명
이재민1,797명
총 피해액3323억원
영향 지역
영향 지역경상북도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추가 정보
발생 원인 가능성향상된 지열 시스템 (EGS)의 물 주입
외부 링크
미국 지질 조사소미국 지질 조사소 지진 정보
대한민국 기상청대한민국 기상청 지진 정보
방재 과학 기술 연구소방재 과학 기술 연구소 지진 정보
중앙 일보중앙 일보 기사

2. 지진 발생

2017년 11월 15일 오후 2시 22분 32초, 포항시 북구 북쪽 7km 지역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했다.[57] 이어 22분 44초에는 포항시 북구 북서쪽 7km 지역에서 규모 2.6의 지진이 발생했다.[46] 이 두 지진은 전진으로, 이후 규모 5.4의 본진이 발생했다.[45][51][58]

본진 발생 이후에도 여진은 계속해서 진행되어, 12월 25일 오후 4시 19분 22초에는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8km 지점에서 규모 3.5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 여진까지 총 70회의 여진이 발생했으며, 규모 3.0 이상의 지진은 총 여섯 번 발생했다.[60]

본 지진은 존재가 보고된 적이 없는 무명의 북북동 단층대를 따라 발생했다.[61] 한반도유라시아판의 일부이지만, 제3기 초기(약 3000만 년 전)까지는 판 경계를 따라 대륙성 마그마호를 이루고 있었다. 포항 분지와 같은 소규모 분지의 동시 형성과 제3기 초기에서 중기(약 3000만 년~1500만 년 전)에 동해가 후방호분지로 열리면서, 북북동 방향의 주향이동단층과 북북동~북동 방향의 정단층이 주로 한국 남동부와 인접 해역에 발달하였다. 현재의 압축 환경은 이러한 단층 중 일부를 역단층과 주향이동단층으로 재활성화시켰다. 한국 남부 전역에서 진원 메커니즘 해석으로 확인된 압축축은 동북동 방향으로 완만하게 하강한다.[9][6]

2018년 2월 10일 발생한 규모 4.6의 지진은 본진의 여진으로 측정 및 판단되었다.[15] 이 여진은 본진이 단층의 북동쪽 부분에서 발생한 것과 달리 단층의 남동쪽 부분에서 발생했다. 장기적인 단층 모니터링 결과, 초기 지진 이후 여진의 빈도는 감소했지만, 매달 약 10회의 여진이 발생하여 초기 지진이 해당 지역의 지진학적 특성을 변화시켰을 가능성이 있다.[15]

2. 1. 본진

대한민국 기상청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본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55]

항목내용
지진 발생 시각2017년 11월 15일 수요일 14시 29분 31초
진원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북쪽 8km 지역 (북위 36°11동경 129°37)
진원 깊이4km[56]
지진 규모* 모멘트 규모 (Mw) 5.5
최대 진도진도 Ⅵ (경상북도 포항시)
최대지반가속도0.58g (경상북도 포항시)
단층 형태역단층성 우수향 주향이동단층 (북동-남서 방향을 축으로 압력을 받음)[56]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제출한 포항 지진 단층면해의 분석 결과


미국 지질조사국이 제출한 포항 지진 단층면해의 분석 결과


주진 직후 발생한 여진의 3차원 분포와 더 큰 여진의 단층면해를 분석한 결과, 고강단층계와 반대 방향인 것으로 보이는, 기존에 지도에 표시되지 않았던 단층이 지진계열에 의해 재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9] 지진의 단층면해는 역단층 성분이 일부 포함된 주향이동단층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복잡한 단층 활동 과정을 시사한다.[10][6][11] 여진이 주 단층면에서 발생한 분포를 바탕으로 포항 지진의 단층 크기는 폭 4~5km, 길이 7~8km로 추정된다.[10] 이 지진은 연쇄 반응이 발생하는 "폭주형 지진"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끄러짐이 열을 발생시키고 더 많은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과정이다. 단층은 6초 이내에 3단계로 파열되었으며, 각 단계에서 지진 모멘트는 각각 약 6%, 59%, 35% 정도 방출되었다.[12]

본진 발생 시각은 14시 29분 31초이며, 진앙은 포항시 북구 흥해읍 북동쪽 약 2km, 진원의 깊이는 약 9km, 최대 메르칼리 진도는 VI로 추정된다.[30]

2. 2. 전진 및 여진

2017년 11월 15일 오후 2시 22분 32초, 포항시 북구 북쪽 7km 지역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했다.[57] 이어 22분 44초에는 포항시 북구 북서쪽 7km 지역에서 규모 2.6의 지진이 발생했다.[46] 이 두 지진은 전진으로, 규모 5.4의 본진은 29분 31초에 발생했다.[45][51][58]

본진 발생 이후인 오후 2시 32분 59초, 포항시 북구 북쪽 7km 지역에서 규모 3.6의 지진이 발생했다.[59] 이후 규모 2에서 3을 오가는 여진이 여러 차례 발생했으며, 오후 4시 49분에는 규모 4.3의 여진이 발생했다. 12월 25일 오후 4시 19분 22초에는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8km 지점에서 규모 3.5의 여진이 발생했으며, 이때까지 총 70회의 여진이 발생했고, 규모 3.0 이상의 지진은 총 여섯 번 발생했다.[60]

2018년 2월 11일 오전 5시 3분에는 포항시 북구 북서쪽 5km 지점에서 규모 4.6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 지진도 여진으로 간주된다.[36]

본진 및 규모 4.0 이상의 여진 목록
발생일시 (KST)진원지좌표진원 깊이릭터 규모
(KMA)
모멘트 규모
(USGS)
최대 진도출처
2017년 11월 15일 오후 2:29:31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9kmrowspan=2 |KMA : 7 km
USGS : 10 km
NIED : 5 km
5.45.5KMA : VI
USGS : VII
2017년 11월 15일 오후 4:49:30KMA : 10 km
USGS : 10 km
4.34.7KMA : VII
USGS : IV
2018년 2월 11일 오전 5:03:03경북 포항시 북구 북서쪽 5kmKMA : 9 km
USGS : 10 km
4.64.7KMA : V
USGS : VII



본진(5.4) 이후의 여진 발생 추이


장기적인 단층 모니터링 결과, 초기 지진 이후 여진의 빈도는 감소했지만, 매달 약 10회의 여진이 발생하여 초기 지진이 해당 지역의 지진학적 특성을 변화시켰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5]

2. 3. 단층 분석

본진의 단층 면해는 역단층성 주향이동단층 운동을 나타냈으며, 본진과 같은 날 발생한 규모 4.3의 여진은 역단층 성분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규모 3 이상의 주요 여진은 주향이동성분이 우세하게 나타나 복잡한 단층 운동에 의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53] 여진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하며, 남동쪽에 비해 북서쪽 지진의 깊이가 깊어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이로써 포항 지진의 단층면이 북서쪽으로 경사진 것으로 분석된다. 주 단층면에서 발생한 여진 분포를 통해 포항 지진의 지진 단층은 길이 약 7km~8km, 너비 약 4km~5km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53]

본진 및 규모 4.0 이상의 여진 목록
발생일시 (KST)진원지좌표진원 깊이릭터 규모
(KMA)
모멘트 규모
(USGS)
최대 진도출처
2017년 11월 15일 오후 2:29:31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9kmKMA : 7km
USGS : 10km
NIED : 5km
5.45.5KMA : VI
USGS : VII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eqk=eqk_web_3_20171115142931.xml]
2017년 11월 15일 오후 4:49:30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9kmKMA : 10km
USGS : 10km
4.34.7KMA : VII
USGS : IV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eqk=eqk_web_3_20171115164930.xml]
2018년 2월 11일 오전 5:03:03경북 포항시 북구 북서쪽 5kmKMA : 9km
USGS : 10km
4.64.7KMA : V
USGS : VII
[http://www.weather.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eqk=eqk_web_3_20180211050303.xml]



주진 직후 발생한 여진의 3차원 분포와 더 큰 여진의 단층면해를 분석한 결과, 고강단층계와 반대 방향인 것으로 보이는, 기존에 지도에 표시되지 않았던 단층이 지진계열에 의해 재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9] 지진의 단층면해는 역단층 성분이 일부 포함된 주향이동단층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복잡한 단층 활동 과정을 시사한다.[10][6][11] 여진이 주 단층면에서 발생한 분포를 바탕으로 포항 지진의 단층 크기는 폭 4km~5km, 길이 7km~8km로 추정된다.[10] 이 지진은 연쇄 반응이 발생하는 "폭주형 지진"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끄러짐이 열을 발생시키고 더 많은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과정이다. 단층은 6초 이내에 3단계로 파열되었으며, "각 단계에서 지진 모멘트는 각각 약 6%, 59%, 35% 정도 방출되었다."[12]

3. 진도

대한민국 기상청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본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55]









본진의 진동은 일본에서도 느껴져, 쓰시마섬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2를, 규슈 북부의 후쿠오카현, 나가사키현, 사가현, 주고쿠 지방야마구치현, 시마네현에서 진도 1의 유감지진을 감지했다.[65]

4. 피해

2017년 포항 지진으로 인해 포항시를 중심으로 큰 피해가 발생했다. 한동대학교에서는 건물 외벽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으며[66], 경상북도교육청은 11월 16일 낮 12시까지 99개 학교에서 피해가 접수되었다고 밝혔다.[67] 지진 발생 당일 경상북도 내에서 39명이 부상을 입었고, 포항역 천장 일부가 붕괴되었으며, 포항시에는 약 10곳의 소규모 화재가 발생했다.[37]

지진 발생 후, 집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된 약 1,000명의 이재민은 시내 흥해 실내체육관을 비롯해 포스코 연수원 등의 임시 거처에 머물렀다.[40] 이후 이재민들은 새롭게 마련한 주택이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택으로 거처를 옮겼으나, 지진 발생 1년 후에도 약 400명이 여러 가지 사정으로 흥해 실내체육관에 설치된 텐트에서 생활을 이어갔다.[40] 2년 이상이 지난 2019년 12월에도 96세대의 이재민이 체육관에서 텐트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41][42]

한편,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한국수력원자력은 지진 발생 직후, 전국의 원전과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68]

4. 1. 피해 복구

포항 지진으로 최소 82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그중 15명은 입원 치료를 받았다. 약 1,124명은 집을 떠나 임시 거처에서 생활했다.[8] 지진 발생 4일 이내에 피해 건물의 80% 이상이 복구되었으며,[8] 19일 오전 5시(KST) 기준으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000채가 넘는 주택이 피해를 입었다고 보고했다.[38]

피해 현황[8][38]
종류피해 규모
주택 (완파)52채
주택 (대파)157채
주택 (소파)1,800여 채
학교 (포항)107개
학교 (울산)44개
학교 (대구)26개
공공기관 및 공원79개
항만 시설23개
도로7개
상점90개
공장77개
교량11개



무너진 외벽이 주차된 차량에 떨어져 차량이 파손되었다. 진앙인 포항시에서 촬영.


지진 발생 다음 날인 11월 16일에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한국 교육부는 전국적으로 연기를 발표했고, 1주일 미뤄진 11월 23일에 시험이 실시되었다.[39]

5. 사회적 영향

2017년 포항 지진으로 최소 82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그중 15명은 입원 치료를 받았다. 약 1,124명은 집을 떠나 임시 거처에서 생활했다.[8] 지진으로 인해 포항시 남부 항구 지역에는 상당한 인프라 피해가 발생했다.

포항시는 지진 피해자들이 소송에 참여하는 수가 증가함에 따라, 2019년 국회와 중앙정부에 피해자 특정 및 보상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요청했다. 2024년 3월, 대구지방법원의 판결에 따라 포항 주민들은 1인당 300만(약 2100USD)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23] 총 보상 규모는 2조에 달할 수 있다.[23]

2019년까지도 지진으로 이재민이 된 많은 주민들이 체육관 천막에서 생활했는데, 일부 건물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24] 이강덕 시장에 따르면 포항 시민의 약 80%가 정신 건강 문제를 호소하고 있으며, 42%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고 있어, 특별법은 지진으로 인한 정신적·신체적 고통을 완전히 치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4] 국회에 관련 법안이 제출되었으나, 법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둘러싼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24]

15일 밤까지 경상북도 내에서 39명이 부상을 입었다. KTX 포항역 천장 일부가 붕괴되었고, 포항시에는 약 10곳의 소규모 화재가 발생했다.[37] 19일 오전 5시(KST) 기준으로 2,000채가 넘는 주택이 피해를 입었다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보고했다. 약 1,800건은 지붕 손상이지만, 52건은 완파, 157건은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38] 공공시설에서는 200개가 넘는 초중고등학교와 80곳 가까운 관공서, 23개의 항만에서도 피해가 보고되었다.[38]

지진 발생 다음 날인 11월 16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한국 교육부는 전국적으로 시험을 연기했고, 1주일 뒤인 11월 23일에 시험이 실시되었다.[39] 18일에 안양시 종합운동장 축구장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2017 CHEER UP FOR YOU」도 12월로 연기되었다.

5. 1.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문재인 대통령은 동남아시아 순방 후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지진 소식을 듣고 귀국하는 대로 수석·보좌관 회의를 소집할 것을 지시했다.[69] 이낙연 국무총리는 행정안전부에 지진으로 인한 인명피해 여부 등 피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전 행정력을 동원해 현장에서 피해자 구조 지원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70]

포항 일대의 고사장이 파손되는 등, 지진으로 인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정상적인 진행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원래 일정이었던 2017년 11월 16일에서 일주일 뒤인 2017년 11월 23일로 연기되었다.[72][21][22] 교육부는 11월 16일 오후 2시 수능 성적 발표와 대학별고사를 모두 일주일 순연시킨다고 밝혔다.

5. 2. 재난 대응 체계 개선

문재인 대통령은 동남아시아 순방 후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지진 소식을 듣고 귀국하는 대로 수석·보좌관 회의를 소집할 것을 지시했다.[69] 이낙연 국무총리는 행정안전부에 지진으로 인한 인명피해 여부 등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전 행정력을 동원해 현장에서 피해자 구조 지원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70]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긴급재난문자 발송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에, 이번 포항 지진에서는 문자 발송이 매우 신속하였다.[71]

5. 3. 이재민 지원

2017년 포항 지진으로 최소 82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그중 15명은 입원 치료를 받았다. 약 1,124명은 집을 떠나 임시 거처에서 생활했다.[8]

지진 발생 후, 집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된 약 1,000명의 이재민은 포항시 흥해 실내체육관을 비롯해 포스코 연수원 등의 임시 거처에 머물렀다. 이후 이재민들은 새롭게 마련한 주택이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택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러나 지진 발생 1년 후에도 약 400명이 여러 가지 사정으로 흥해 실내체육관에 설치된 텐트에서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40]

2년 이상 경과한 2019년 12월에도 96세대의 이재민이 흥해 실내체육관에서 텐트를 친 채로 생활하고 있다.[41][42]

6. 지진 원인 논란과 후속 조치

한반도는 유라시아판의 일부이지만, 제3기 초기(약 3000만 년 전)까지는 판 경계를 따라 대륙성 마그마호를 이루고 있었다. 포항 분지와 같은 소규모 분지의 동시 형성과 제3기 초기에서 중기(약 3000만 년~1500만 년 전)에 동해(Japan Sea)가 후방호분지로 열리면서, 북북동 방향의 주향이동단층과 북북동~북동 방향의 정단층이 주로 한국 남동부와 인접 해역에 발달하였다. 현재의 압축 환경은 이러한 단층 중 일부를 역단층과 주향이동단층으로 재활성화시켰다. 한국 남부 전역에서 진원 메커니즘 해석으로 확인된 압축축은 동북동 방향으로 완만하게 하강한다.[9][6] 변형률과 지진 활동률이 낮고 파괴적인 지진 사이의 재발 간격이 길기 때문에, 1978년 이후 한국의 현대 계측 지진 활동은 안정된 대륙 지각대의 전형적인 예이다.[7]

2017년 포항 지진 발생 후, 지진의 원인에 대한 논란이 있었고, 정부 차원의 조사와 후속 조치가 이루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

6. 1. 유발 지진 가능성

2017년 포항 지진 발생 후, 해당 지역의 지열발전소에서 시행된 유체 주입으로 인해 임계 상태에 있던 단층이 유발한 "급격한" 지진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13] 향상된 지열 시스템(EGS)이 지진 진앙에서 불과 600m 떨어진 곳에 위치했고, 개발 과정에서 응력 변화를 일으켜 지진을 유발할 수 있는 고압 유체 주입이 진행되었다.[10] 지진 규모는 EGS에서 예상되는 지진보다 훨씬 컸지만, 한국 정부 위원회는 지진이 유체 주입의 결과라고 판단했다.[11][14] 추가 조사 결과, 지진은 유체 주입에 의해 직접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유체 주입에 의해 재활성화된 단층대에 대한 지각 하중을 통해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자체 지속적인 파열 과정의 결과임이 밝혀졌다.[11][6]

2019년 3월, 정부 연구조사단은 포항 지열발전소 가동이 지진을 유발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고,[43]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발전소 운영 중지를 결정했다.[44]

6. 2. 소송 및 피해보상

포항시는 2017년 포항 지진 피해자들이 소송에 참여하는 수가 증가함에 따라, 2019년 국회와 중앙정부에 피해자를 특정하고 보상하는 특별법 제정을 위한 긴밀한 협력을 요청했다. 2024년 3월, 한국의 주요 경제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포항 시민의 96%가 소송에 참여했으며, 대구지방법원의 판결에 따라 포항 주민들은 1인당 300만(2100USD)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총 보상 규모는 2조에 달할 수 있다.[23]

이강덕 시장에 따르면 포항 시민의 약 80%가 정신 건강 문제를 호소하고 있으며, 42%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고 있다. 따라서 특별법은 지진으로 인한 정신적·신체적 고통을 완전히 치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회에 관련 법안이 제출되었으나, 법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둘러싼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24]

참조

[1] 웹사이트 발생시각 2017년 11월 15일 14시 29분 31초 규모 5.4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11-15
[2] 뉴스 South Korea earthquake: Tremors that rocked Pohang were second-strongest on record https://www.independ[...] 2017-11-16
[3] 웹사이트 포항 인근 규모 5.4 지진, 서울도 흔들…경주 다음 역대 2위(3보) https://www.news1.kr[...] 2017-11-15
[4] 논문 South Korea accepts geothermal plant probably caused destructive quake 2019-03-22
[5] 논문 Geological and Structural Control on Localized Ground Effects within the Heunghae Basin during the Pohang Earthquake (MW 5.4, 15th November 2017), South Korea 2019-04-01
[6] 논문 Assessing whether the 2017 M w 5.4 Pohang earthquake in South Korea was an induced event https://www.science.[...] 2018-06-01
[7] 논문 Seismic moment assessment of earthquakes in stable continental regions-I. Instrumental seismicity Oxford University Press (OUP)
[8] 웹사이트 Pohang quakes damage some 2,000 houses, 227 schools http://english.yonha[...] 2017-11-19
[9] 논문 The 2017 ML 5.4 Pohang earthquake sequence, Korea, recorded by a dense seismic network https://www.scienced[...] 2020-01-05
[10] 논문 The November 2017 M w 5.5 Pohang earthquake: A possible case of induced seismicity in South Korea https://www.science.[...] 2018-06-01
[11] 논문 An In-Depth Seismological Analysis Revealing a Causal Link Between the 2017 M W 5.5 Pohang Earthquake and EGS Project https://agupubs.onli[...] 2019-12-01
[12] 논문 Rupture Process of the 2017 Mw 5.5 Pohang, South Korea, Earthquake via an Empirical Green's Function Method https://pubs.geoscie[...] 2023-04-01
[13] 논문 Rupture Process of the 2017 Mw 5.5 Pohang, South Korea, Earthquake via an Empirical Green’s Function Method 2023-04-01
[14] 간행물 Summary re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Commission on relations between the 2017 Pohang earthquake and EGS project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019
[15] 논문 Spatial and temporal evolutions of aftershocks between 2017 and 2023 at the Pohang EGS site and its vicinity https://www.episodes[...] 2024-09-01
[16] 웹사이트 Handong University campus dizzying situation...Emergency evacuation https://sports.khan.[...] 2017-11-15
[17] 웹사이트 연약한 지반이 지진 피해 키웠다…실제 충격은 규모 7.4 https://n.news.naver[...]
[18] 웹사이트 "포항 강진, 장사단층 아닌 無名단층서 발생" https://n.news.naver[...]
[19] 논문 The November 2017 Mw 5.5 Pohang earthquake: A possible case of induced seismicity in South Korea 2018-06-01
[20] 논문 Assessing whether the 2017 Mw 5.4 Pohang earthquake in South Korea was an induced event 2018-06-01
[21] 웹사이트 South Korea quiet for quake-delayed college entrance exam https://www.straitst[...] 2017-11-23
[22] 웹사이트 CSAT delay causes chain reaction of changes http://mengnews.join[...] 2017-11-16
[23] 웹사이트 Participation increased after the ruling on the payment of 3 million won in alimony. During the 2017 Pohang earthquake, the population reached 96%. https://www.mk.co.kr[...]
[24] 웹사이트 The Social Fallout From Pohang's 'Man-Made' Earthquake https://thediplomat.[...]
[25] 웹사이트 M 5.4 - 9km WNW of Hoko, South Korea https://earthquake.u[...] 미국지질조사소 2017-11-15
[26] 웹사이트 Mw 5.5 2017/11/15 14:29 JST 深さ5km http://www.fnet.bosa[...] 防災科学技術研究所 広帯域地震観測網 2017-11-15
[27] 웹사이트 발생시각 2017년 11월 15일 14시 22분 44초 규모 2.6 http://www.kma.go.kr[...] 대한민국기상청 2017-11-15
[28] 웹사이트 발생시각 2018년 02월 11일 05시 03분 03초 규모 4.6 http://www.weather.g[...] 대한민국기상청 2018-02-11
[29] 뉴스 한국 남서부의 지진 받아 “숨겨진 단층”의 조사 서두르다 https://world.kbs.co[...] KBS WORLD 2024-06-13
[30] 웹사이트 발생시각 2017년 11월 15일 14시 29분 31초 규모 5.4 http://www.kma.go.kr[...] 대한민국기상청 2017-11-15
[31] 웹사이트 <浦項地震>韓国南東部でM5.4の地震…大学修能試験が1週間延期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7-11-16
[32] 뉴스 韓国気象庁「浦項の地震により韓国全域で揺れを検知」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7-11-15
[33] 뉴스 韓国南東部でM5.4の地震 観測史上2番目の規模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7-11-15
[34] 웹사이트 Mjma 5.5 朝鮮半島南部 2017年11月15日 14時29分頃発生 http://www.jma.go.jp[...] 気象庁 2017-11-15
[35] 일반
[36] 웹사이트 浦項でM4.6の地震、昨年11月の本震後最大の余震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2-12
[37] 뉴스 韓国南東部の地震 39人重軽傷=余震で建物被害拡大も http://m.yna.co.kr/m[...] 聯合ニュース 2017-11-16
[38] 뉴스 (LEAD) Pohang quakes damage some 2,000 houses, 227 schools http://english.yonha[...] 聯合ニュース 2017-11-20
[39] 뉴스 大学入試を延期=浦項地震で会場被害-韓国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17-11-16
[40] 웹사이트 「いまだ体育館暮らし」…避難所で2度目の旧正月迎える浦項地震被災者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3-20
[41] 뉴스 포항지진 이재민 고통 774일째…이총리 "새 접근법 모색"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19-12-28
[42] 뉴스 ‘텐트 생활’ 2년만에…포항 지진 이재민들 임대아파트 이사 http://www.hani.co.k[...] 한겨레 2019-11-15
[43] 뉴스 韓国観測史上2番目の大地震「自然発生ではなかった」 地熱発電所が触発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9-03-20
[44] 뉴스 M5.4の浦項地震 政府の調査研究団「地熱発電所の影響」 http://world.kbs.co.[...] KBS World 2019-03-20
[45] 웹인용 발생시각 2017년 11월 15일 14시 29분 31초 규모 5.4 http://www.kma.go.kr[...] 기상청 2017-11-15
[46] 웹인용 발생시각 2017년 11월 15일 14시 22분 44초 규모 2.6 http://www.kma.go.kr[...] 대한민국 기상청 2017-11-15
[47] 웹인용 발생시각 2018년 2월 11일 5시 3분 3초 규모 4.6 http://www.weather.g[...] 대한민국 기상청 2018-02-11
[48] 뉴스 “포항 지진 피해액 551억 원…‘경주 지진’의 5배” https://news.naver.c[...] KBS 2017-12-08
[49] 뉴스 포항 4.6 지진 피해 갈수록 늘어…부상자 43명·시설피해 354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8-02-12
[50] 뉴스 한국은행 "포항지진 피해액 3323억원" https://news.naver.c[...] TV조선 2018-11-18
[51] 뉴스 포항 5.4 지진으로 전국 '흔들'…경주 지진 이어 역대 2위 위력(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11-15
[52] 보도자료 경북 포항시 지역에서 규모 5.4 지진 발생 http://web.kma.go.kr[...] 대한민국 기상청 2017-11-16
[53] 뉴스 포항 인근 규모 5.4 지진, 서울도 흔들…경주 다음 역대 2위(3보) http://news1.kr/arti[...] 뉴스1 2017-11-15
[54] 웹사이트 https://news.v.daum.[...]
[55] 서적 2017 지진연보 http://www.kma.go.kr[...] 대한민국 기상청 2018-07-18
[56] 서적 (일반인을 위한) 한반도 동남권 지진 : 경주지진 & 포항지진을 중심으로 자료유형 http://library.kiga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8-07-18
[57] 웹인용 [지진정보] 2017. 11. 15 14:26 발표 http://www.kma.go.kr[...] 기상청 2017-11-15
[58] 웹인용 2017 지진연보 https://www.kma.go.k[...] 대한민국 기상청
[59] 웹인용 [지진정보] 2017. 11. 15 14:49 발표 http://www.kma.go.kr[...] 기상청 2017-11-15
[60] 웹사이트 http://www.asiae.co.[...]
[61] 웹인용 동해 지진 발생 해역 내 단층 분포 해석 시스템 구축 https://scienceon.ki[...]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8-02-01
[62] 웹인용 지진정보 기상청 - 2017년 11월 15일 14시 35분 현재 http://www.weather.g[...] 대한민국 기상청 2018-07-21
[63] 웹인용 지진정보 기상청 - 2017년 11월 15일 16시 50분 현재 http://www.weather.g[...] 대한민국 기상청 2018-07-21
[64] 웹인용 지진정보 기상청 - 2018년 2월 11일 05시 07분 현재 http://www.weather.g[...] 대한민국 기상청 2018-07-21
[65]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https://web.archive.[...] 일본 기상청 2018-12-06
[66] 뉴스 [포항 지진] 한동대 캠퍼스 아찔했던 상황…외벽 ‘와르르’ 학생들 긴급대피(영상)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17-11-15
[67] 뉴스 지진으로 포항지역 학교 피해 '눈덩이'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7-11-17
[68] 뉴스 포항 5.5 강진 발생…원전 이상 여부 없다(종합) https://web.archive.[...] 이데일리 2017-11-15
[69] 뉴스 문 대통령, 전용기서 지진 보고받아... 긴급회의 소집 지시 http://www.ohmynews.[...] 연합뉴스
[70] 뉴스 정부, 포항 지진상황 종료까지 비상근무체제 유지 http://www.gokorea.k[...] 공감신문
[71] 뉴스 "지진보다 '재난문자' 먼저 도착"…1년전 경주 늑장대응과 대비 http://news1.kr/arti[...] 뉴스1 2017-11-15
[72] 뉴스 사상 초유의 수능 연기.. 포항 지진으로 1주일 연기 결정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7-11-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